1 분 소요

이번에는 Java 변수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공부하겠습니다.

1. 메모리 공간의 활용과 변수와의 관계

변수란 변하는 수를 의미합니다. 즉 변하는 값을 프로그램에서 나타내기 위한 방법으로 변수를 사용합니다.
Java에서의 변수는 데이터의 저장과 참조를 위해 할당된 메모리 공간을 의미합니다. 저희들은 이 변수를 통해 메모리 공간을 활용해야 합니다.

메모리 공간을 활용한다는 것은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하고,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한 물리적 장치이기 때문에, 메모리 공간의 활용은 “데이터의 저장 및 참조”라고 할 수 있습니다.

2. 변수(Variable)에 대한 간단한 이해

Java에서는 메모리 공간의 할당과 접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변수를 도입했습니다.
코드 상에서 변수를 선언하면 변수 크기에 맞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고, 할당된 메모리 공간의 접근을 위해 변수의 이름이 붙여집니다.

/* 변수 선언 */
int num1;
int num2;

위의 코드에서 int가 의미하는 것은 10진수 정수를 저장할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겠다는 의미입니다.
num1과 num2는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접근할 때 쓰이는 이름으로 변수명입니다.
코드에서 나온 int num1 같은 것을 변수의 선언이라고 합니다.

/* 변수의 선언과 할당 */
int num1 = 10;
int num2;
num2 = 20;

위의 코드는 선언된 변수에 값을 넣어주는 방법입니다.
int로 선언된 변수에는 정수만 할당이 가능하고 정수 외의 실수나 다른 값을 할당할 경우 컴파일 에러가 발생합니다.

3. 자료형의 종류와 구분

위의 두 코드에서 봤던 int는 변수에 저장할 데이터의 종류를 알리는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. 이러한 키워드를 ‘자료형(data type)’이라고 합니다.

자베에서 제공하는 자료형의 종류는 총 8가지가 있고, 이 자료형들을 ‘기본 자료형’이라고 합니다.

자료형 데이터 메모리 크기 표현 가능 범위
boolean 참과 거짓 1byte true, flase
char 문자 2byte 모든 유니코드 문자
byte 정수 1byte -128 ~ 127
short 정수 2byte -32768 ~ 32767
int 정수 4byte -2747483648 ~ 2147483647
long 정수 8byte –9,223,372,036,854,775,808 ~ 9,223,372,036,854,775,807
flote 실수 4byte 3.4E+/-38(7개의 자릿수)
double 실수 8byte 1.7E+/-308(15개의 자릿수)

4. 변수의 이름을 짓는 방법

Java에서 변수의 이름을 짓는 경우 몇가지의 제약이 있습니다.

  1. 대소문자의 구분이 있다.
  2. 변수의 이름은 숫자를 시작할 수 없다.
  3. $과 _ 이외의 다른 특수문자는 사용할 수 없다.
  4. 키워드는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.

키워드의 예시로는 boolean, if, char 등이 있습니다.

태그:

카테고리:

업데이트:

댓글남기기